본문 바로가기

Server/Linux8

Crontab을 이용한 파이썬 환율 데이터 수집하기 크론탭(Crontab)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주기적으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스케쥴러이다. 크론탭을 활용하여 특정 시간, 날짜, 또는 주기에 따라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자동 실행할 수 있다. 목차 오늘은 지난번에 만들었던 환율 정보 수집 스케쥴 코드를 실제 우분투 서버에 크론탭을 이용하여 스케쥴 등록을 하고 데이터를 수집해보려고 한다. 크론탭을 사용하는 방법은 실제 업무에서 시스템이나 서버 개발을 하게 되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스케쥴을 만들어보면서 크론탭을 이용해 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크론탭의 기본 개념 크론탭은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작업 스케쥴러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도구이다. 특정 시간에 명령어나 스.. 2024. 1. 14.
리눅스 cd 명령어로 효율적으로 디렉토리 관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히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중 하나인 cd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cd 명령어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하는데 사용되며, 파일 탐색과 디렉토리 간 이동을 쉽게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d 명령어의 다양한 활용법과 유용한 팁을 살펴보겠습니다. cd 명령어의 개요 cd 명령어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터미널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빠르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기본 구조 cd [옵션] [디렉토리 경로] 1. 기능 cd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사용법 cd 명.. 2023. 9. 22.
리눅스 파일 이동 mv 명령어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을 이동하는 데에 사용되는 mv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mv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이름을 변경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 파일의 이동과 이름 변경, 그리고 권한 및 소유자 정보의 유지까지 다양한 작업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v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부터 고급, 실제 예제 코드를 통해 명령어의 활용 방법과 주의사항을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mv 명령어란?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가 바로 mv입니다. "move"의 줄임말로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거나, 파일 이름을 변경하거나, 또는 두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2023. 9. 15.
리눅스 파일 복사 cp 명령어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 복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파일 복사는 리눅스 시스템 관리 및 데이터 이동에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입니다. 복사 방법부터 복사 시 주의해야 할 사항, 고급 기술까지 다양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일을 다른 경로로 복사하거나 백업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리눅스 파일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p 명령어를 이용한 파일 복사 눅스에서 파일 복사를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는 cp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cp [옵션] 원본파일 대상위치 옵션 -i: 대상 위치에 이미 파일이 존재할 경우 덮어쓸지 물어봄 -r 또는 -R: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 2023. 9. 8.
다양한 리눅스 서버를 비교하고 선택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의 배포판 종류에 대해 깊이 있는 특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리눅스 배포판은 서버 운영에 있어서 핵심적인 선택 중 하나이며, 다양한 배포판들이 각자의 특징과 용도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서버 운영자에게는 어떤 배포판이 최적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배포판의 독특한 특성과 장점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배포판 종류 1. Ubuntu - 사용성이 좋고 커뮤니티가 활발한 배포판으로, 서버용으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 간편한 설치와 설정을 제공하며, 신뢰성과 보안성이 높습니다. - AWS, Azure, Google Cloud 등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2. CentOS - Red H.. 2023. 9. 1.
리눅스 프로세스 모니터링 관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프로세스 모니터링 관리'에 대한 내용을 함께 공유하려고 합니다. 리눅스 운영체제는 서버 관리의 핵심이자 중심입니다. 그러나 시스템의 내부적인 동작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거나 즉각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리눅스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서버 운영과 관리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으로,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위해 활용되는 간단한 명령어들과 관련된 개념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리눅스 서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미리 예방할 수 있.. 2023. 8. 25.
리눅스 사용자 및 권한 관리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사용자 및 권한 관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리눅스 운영체제를 다룰 때, 사용자와 권한 설정은 핵심적인 부분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중요한 역량입니다. 사용자 계정의 생성과 권한 부여, 그리고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 설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와 그룹 관리 사용자 관리 1. 사용자 계정 생성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ex) useradd username 2. 비밀번호 설정 passwd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ex) passwd username 3. 사용자 정보 변경 usermod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속성을 변.. 2023. 8. 18.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구조 시작부터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의 기초를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특히 파일 및 디렉토리 구조 관련하여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리눅스는 운영체제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며, 파일과 디렉토리는 그 핵심입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구조를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과 디렉토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이해하면 리눅스 환경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계층 구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가 이 계층 구조 안에 배치됩니다. 이러한 계층 구조를 이해하면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루트 디렉토리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시작점이자 최상위 디렉토리입.. 2023. 8. 11.